즐겨찾기에 추가
    국립국어원 누리집
첫 화면으로 이동
찾기
자세히 찾기
일러두기
    관용구
    속담
    방언
    북한어
    고유어

공지사항 바로가기

    내 컴퓨터 속 표준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검색창 달기
  • 표제어
  • 원어 정보
  • 발음 정보
  • 활용 정보
  • 품사 표시
  • 문형 정보
  • 문법 정보
  • 뜻풀이
  • 순화어
  • 한글 맞춤법 정보
  • 관용구/속담
  • 용례
  • 관련 어휘
  • 어원 정보
  • 기타
  • 조사 문헌
  • 사전에 쓰인 기호 및 약어

문형 정보 일러두기
제시 범위
(1)

주어를 제외한 용언의 필수적 성분만을 제시하였다. 주어에서 나타나는 통사ㆍ의미론적 제약은 문법 정보로 제시하였다.

(2)

용언의 문형 정보와 관련된 필수적 성분은 ' …을', '…으로' 따위의 격 조사나, '-게, -음, -기' 따위의 어미만 표시하였다.

(3)

보조 용언이나 이에 준하는 용언의 경우는 그 문장 구조에 대한 정보를 문형 정보에서 제시하지 않고 문법 정보에서 제시하였다.

<예>
가다01〔가, 가니, 가거라〕
[Ⅰ] 「동사」
……
[Ⅱ] 「보조동사」
((주로 동사 뒤에서 ‘-어 가다’ 구성으로 쓰여)) 말하는 이, 또는 말하는 이가 정하는 어떤 기준점에서 멀어지면서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가 계속 진행됨을 나타내는 말.
못-쓰다 [몯ː--] 〔-써, -쓰니〕「동사」
「1」 ((‘못쓰게’ 꼴로 쓰여)) 얼굴이나 몸이 축나다.
 ¶ 얼굴이 못쓰게 상하다/그는 병으로 하루하루 못쓰게 돼 갔다.
「2」 ((주로 ‘-으면’, ‘-어서’와 함께 쓰여)) 옳지 않다. 또는 바람직한 상태가 아니다.

(4)

용례를 거의 찾을 수 없거나 용례가 있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자세한 문형 정보를 제시하기 어려운 경우는 문형 정보를 제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 범위가 좁은 한자어 용언은 용례가 확인되지 않는 이상은 '…을' 성분의 유무만을 제시하였다.

(5)

북한어, 방언, 옛말, 비표준어는 문형 정보를 제시하지 않았다.

문형 정보 기술에 사용한 격 조사와 어미
(1)

문형 정보에 제시되는 조사는 '이, 을, 에, 에게, 에서, 에게서, 으로, 과, 보다(비교격), 고(인용의 격 조사)로 한정하였다.

(2)

동일한 성격의 조사가 여럿이 있으면 다음 원칙에 따라 문형 정보를 제시하였다.
① '이/가', 'ㄹ/을/를', '로/으로', '와/과'는 '이', '을', '으로', '과'로 제시하였다.
② 앞말의 분포가 동일한 것은 하나만 대표로 제시하였다. 처격 조사 '에'와 '에게'는 앞말의 분포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모두 문형 정보에 제시하나, '에게'와 '한테'는 문체상의 차이는 있더라도 앞말의 분포가 동일하므로 '에게'만을 제시하였다.

(3)

문형 정보에 제시되는 어미는 '-게, -도록, -려고, -음, -기, -ㄴ지'로 한정하였다.

(4)

어미가 여러 변이형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원칙에 따라 문형 정보로 제시하였다.
① '-으려고/-려고/-려('-려고'에서 '고'가 생략된 형태)'의 대표형은 '-려고'로 하였다.
② '-ㅁ/-음'의 대표형은 '-음'으로 하였다.
③ '-ㄴ지/-은지/-는지', '-ㄹ지/-을지/-을는지', '-ㄴ가/-은가/-는가', '-ㄹ까/-을까' 전체의 대표형은 '-ㄴ지'로 하였다. 단, 앞의 네 부류 가운데 특정 부류와만 결합하는 경우는 그 부류의 대표형(각 부류에서 첫 번째 것)을 제시하였다.

제시 방식
(1)

조사 뒤에 오면 '【…을】'과 같은 형식으로 제시하고, 어미 뒤에 오면 '【-고】'와 같은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예>
거북-하다 [거ː부카-]
「형용사」
【…이】【-기가】
「1」몸이 찌뿌드드하고 괴로워 움직임이 자연스럽지 못하거나 자유롭지 못하다.
고집-하다 [-지파-]
「동사」
【…을】【-고】
⇒ 고집02「1」.
¶ 그는 자기 주장을 끝까지 고집하며 결코 양보하지 않았다./딸아이는 비싼 옷만을 고집한다.∥할아버지는 시골에서 사시겠다고 고집하셨다.……
굴다01 [굴ː-] 〔굴어, 구니[구ː-] , 구오[구ː-] 〕
「동사」
【-게】 ((‘-게’ 대신에 ‘-이/히’ 부사 따위가 쓰이기도 한다)) 그러하게 행동하거나 대하다. ……
먹다01 [-따] 〔먹어, 먹으니, 먹는[멍-] 〕
「동사」
【(…을)】 귀나 코가 막혀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다.

(2)

'( )'는 '(…을)'과 '(…과)' 의 두 가지 경우에만 사용하였다. '(…을)'은 '…을'을 필수적 성분으로 갖지 않는 자동문과 '(…을)'을 필수적 성분으로 갖는 타동문의 두 가지 문형 정보를 표시해 주었다.
또한, '(…과)'는 '…과' 성분을 갖는 경우와 '…과' 성분을 갖지 않는 경우의 두 가지 문형 정보를 표시해 주었다.

<예>
깜빡-이다
「동사」
[1]기억이나 의식 따위가 잠깐씩 흐려지다. ‘깜박이다[1]’보다 센 느낌을 준다.
[2]【(…을)】
「1」불빛이나 별빛 따위가 어두워졌다 밝아졌다 하다. 또는 그렇게 되게 하다.
겨루다01〔겨루어(겨뤄), 겨루니〕
「동사」
【(…과) …을】【(…과) -ㄴ지를】
((‘…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서로 버티어 승부를 다투다.

(3)

' …에/에게' 혹은 '-게/도록'과 같이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격 조사나 어미들은 '/'로 구분하였다.

<예>
허가-하다
「동사」
【…에/에게…을】
「1」⇒ 허가01「1」.
 ¶ 외국인에게 취업을 허가하다/정부는 한 여행사에 버스 운송 사업을 허가했다. ……

(4)

'(…과)' 성분이 '…을' 성분과 함께 나타날 때, '(…과)' 성분이 주어와 관련되면 '【(…과)…을】'과 같이 '(…과)' 성분을 '…을' 성분 앞에 제시하고 목적어와 관련되면 '【…을(…과)】'와 같이 '(…과)' 성분을 '…을' 성분 뒤에 제시하였다.

(5)

용언의 뜻풀이가 하나인 경우는 뜻풀이 앞에 제시하였다.

<예>
들르다〔들러, 들르니〕
「동사」
【…에】【…을】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
 ¶ 친구 집에 들르다/퇴근하는 길에 포장마차에 들렀다가 친구를 만났다. ……
거절-하다01 [거ː---]
「동사」
【…을】【-기를】⇒ 거절01.
 ¶ 제의를 거절하다/그는 나의 간곡한 부탁을 딱 잘라 거절했다.……

(6)

용언의 뜻풀이가 둘 이상이고 모든 뜻풀이에 해당되는 공통 문형 정보가 있을 때는 공통 문형 정보를 뽑아 모든 뜻풀이에 앞서는 자리에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단, 형태상으로 동일하다고 해서 통사ㆍ의미론적 성격이 다른 경우와, 공통 문형 정보를 뽑아내면 오히려 기술이 복잡해지는 경우에는 공통 문형 정보를 따로 뽑지 않았다.

<예>
바라다01〔바라, 바라니〕
「동사」
【…을】
「1」【-기를】 ((‘-기를’ 대신에 ‘-었으면 하고’가 쓰이기도 한다))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얻어-먹다 [어ː더-따] 〔-먹어, -먹으니, -먹는[멍-] 〕
「동사」
【…에서/에게서 …을】 ((‘…에서/에게서’ 대신에 ‘…으로부터’가 쓰이기도 한다))
「1」 남에게 음식을 빌어서 먹다.
 ¶ 그는 남의 집에서 음식을 얻어먹는 거지 팔자가 되고 말았다./그는 한동안 부랑자들과 어울려서 얻어먹고 지냈다.
「2」 남이 거저 주는 것을 받아먹다.

(7)

용언의 뜻풀이가 둘 이상이고 공통 문형 정보에 따라 몇 개의 부류로 나뉠 때 상위 구분은 [1], [2], [3]……과 같은 기호를 사용하고 각각의 상위 구분에 속하는 하위 뜻풀이들의 구분을 위해서는 「1」, 「2」, 「3」……과 같은 기호를 사용하였다.

<예>
놓다01 [노타] 〔놓아[노-] (놔[놔ː] ) , 놓으니[노--] , 놓는[논-] , 놓소[노쏘] 〕
[Ⅰ] 「동사」
[1] 【…을】
「1」 손으로 무엇을 쥐거나 잡거나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손을 펴거나 힘을 빼서 잡고 있던 물건이 손 밖으로 빠져나가게 하다.
「2」계속해 오던 일을 그만두고 하지 아니하다.
……
[2] 【…에 …을】
「1」 잡거나 쥐고 있던 물체를 일정한 곳에 두다.
 ¶ 책상 위에 책을 놓다.
「2」 일정한 곳에 기계나 장치, 구조물 따위를 설치하다.
……
돕다  [돕ː따] 〔도와, 도우니, 돕는[돔ː-] 〕
「동사」
[1] 【…을】
「1」 남이 하는 일이 잘되도록 거들거나 힘을 보태다.
 ¶ 식사 준비를 돕다/아버지의 일을 돕다/무엇을 도와 드릴까요?
……
[2] 【(…과)】 ((‘…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서로 의지하다.
[3] 【(…과) …을】((‘…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 어떤 일이 잘되게 서로 거들거나 힘을 보태다.
잡아-떼다〔-떼어(-떼), -떼니〕
「동사」
[1] 【…을】
「1」 붙어 있는 것을 억지로 떨어지게 하다.
「2」【-고】 아는 것을 모른다고 하거나 한 것을 아니하였다고 하다.
……
[2] 【…에서/에게서 …을】 억지로 관계를 끊게 하다.

(8)

용언의 뜻풀이 가운데 남한어와 북한어의 뜻풀이가 같이 있는 경우에 북한어는 별도의 뜻풀이 번호로 구분하였다.

<예>
사로-잡다 [---따] 〔-잡아, -잡으니, -잡는[잠-] 〕
「동사」
[1] 【…을】
「1」 사람이나 짐승 따위를 산 채로 잡다.
 ¶ 적군을 포로로 사로잡다/호랑이를 사로잡다.
「2」 생각이나 마음을 온통 한곳으로 쏠리게 하다.
[2] 『북』 차, 배, 비행기 따위를 온전한 채로 붙잡다.
세다02 [세ː-] 〔세어(세[세ː] ), 세니[세ː-] 〕
「동사」
「1」【…을】 사물의 수효를 헤아리거나 꼽다.
「2」『북』 어떤 자격 또는 성격으로 여기거나 간주하다. 【<혜다 <석상>】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