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에 추가
    국립국어원 누리집
첫 화면으로 이동
찾기
자세히 찾기
일러두기
    관용구
    속담
    방언
    북한어
    고유어

공지사항 바로가기

    내 컴퓨터 속 표준국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검색창 달기
  • 표제어
  • 원어 정보
  • 발음 정보
  • 활용 정보
  • 품사 표시
  • 문형 정보
  • 문법 정보
  • 뜻풀이
  • 순화어
  • 한글 맞춤법 정보
  • 관용구/속담
  • 용례
  • 관련 어휘
  • 어원 정보
  • 기타
  • 조사 문헌
  • 사전에 쓰인 기호 및 약어

한글 맞춤법 정보 일러두기
(1)

북한어는 남한의 어문 규정에 따라 표기했을 때의 형태를 뜻풀이 뒤에 보여 주었다. 남한의 어문 규정에 따라 표기해도 표기가 달라지지 않거나, 이미 뜻풀이에서 제시되었으면 따로 이 정보를 제시하지 않았다.

<예>
바람란(--蘭)
「명사」『북』『식물』
‘풍란「1」’의 북한어.  ♧ 바람난.
나들이벌
「명사」『북』
‘나들잇벌’의 북한어.

(2)

북한어 전문어 중에 띄어쓰기만 다른 것은 한글 맞춤법 정보를 제시하지 않았다. 단, 다른 이유로 한글 맞춤법 정보를 제시할 때는 띄어쓰기도 반영하였다.

<예>
론리곱하기회로(論理---回路)
「명사」『북』『컴퓨터』
‘논리곱 회로’의 북한어.  ♧ 논리 곱하기 회로.

(3)

북한 외래어의 경우 대응되는 남한어가 있어도 원래의 언어가 달라 차이가 있을 때는 해당 언어의 남한식 표기 규정에 따라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예>
뜨락또르(<러>traktor)
「명사」『북』
‘트랙터「1」’의 북한어.
¶ 갑자기 등 뒤에서 뜨락또르 소리가 들렸다. 한두 대가 아닌 듯 소리가 제법 지심을 울린다.≪리정숙, 지평선≫  ♧ 트락토르.

(4)

북한어 주표제어에서 한글 맞춤법 정보를 제시하였으면 부표제어에서는 제시하지 않았다.

    위로